추상을 향한 김환기 40년 예술여정…호암미술관 대규모 회고전

초기작·미공개작부터 '우주' 등 점화 대표작까지 120여점 전시
미술관 리노베이션 후 첫 전시…리움과 함께 '하나의 미술관, 두개의 장소' 운영

글로벌리언 승인 2023.05.15 17:53 의견 0

X
달과 나무, 1948(왼쪽), 영원의 노래, 1957 [삼성문화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Whanki Foundation·Whanki Museum

삼성문화재단이 운영하는 경기 용인의 호암미술관이 재단장(리노베이션)을 마치고 수화(樹話) 김환기(1913∼1974) 전시로 재개관한다.

이달 18일 개막하는 '한 점 하늘 김환기' 전은 20세기 한국 미술사의 대표적인 추상화가인 김환기의 40년 예술세계 전반을 살피는 회고전이다. '점화'라는 추상 세계를 확립하기까지 한국적 추상의 개념과 형식을 구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교과서와 언론 등에 소개된 시대별 대표작은 물론, 도판으로만 확인되던 초기작들, 미공개작 등 유화 88점(점화 15점), 1950년대 스케치북, 드로잉 등 약 120점을 소개한다. 작가의 유품과 편지, 청년 시절 사진, 낡은 스크랩북 등도 처음으로 전시에서 공개된다.

전시는 '달/달항아리'를 주제로 한 1부와 점화 중심의 2부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달과 달항아리, 산, 구름 등이 그림의 주요 주제로 등장하며 작가의 전형적인 추상 스타일이 정착되어 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X
김환기, 산, 1940년대 후반∼1950년대초 /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에서 열리는 김환기 전시에 출품된 '산' 작품 모습. 2023.5.15. zitrone@yna.co.kr ⓒWhanki Foundation·Whanki Museum

전시는 1948년작 '달과 나무'로 시작한다. 제목 그대로 달과 나무라는 구체적인 대상을 그렸지만, 흰 바탕에 파란색의 원형으로 단순하게 대상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김환기 특유의 추상이 시작되는 작품이다. 전시에서 처음 공개되는 '산'(1940년대 후반∼1950년대초)은 점을 찍어 단풍 든 산을 표현한 작품으로, 점화 작업이 시작되기 이전 이미 점을 찍는다는 기법이 작가에게 내재해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추상화 초기작인 '론도'(1938)와 비대칭 격자 속에 구름과 산, 십장생, 도자기, 매화, 달 등 자신의 대표적 도상을 넣은 '영원의 노래'(1957), 백제 산수문전을 연상케 하는 능선, 달빛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작은 사각 점 등이 등장하는 '여름달밤'(1961) 등도 볼 수 있다.

X
김환기 화백의 '여인들과 항아리' / 15일 오전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에서 열린 김환기 회고전 '한 점 하늘 김환기' 기자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이 전시는 오는 18일부터 9월 10일까지 열린다. ⓒ환기재단·환기미술관. 2023.5.15

[재판매 및 DB 금지] scape@yna.co.kr

김환기는 항아리, 특히 달항아리 사랑이 극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자대호로 불리던 항아리에 '달항아리'라는 이름을 붙인 것도 그와 그의 친구였던 최순우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이었다. 이번 전시에서도 달항아리를 비롯한 항아리 그림이 빠질 수 없다. 달과 항아리를 동일시해 그린 '백자와 꽃'(1948), 세로 구도로 달과 항아리를 중첩해 그린 '달과 항아리'(1952), 매화가 꽂힌 항아리 옆에 서정주 시를 적은 '항아리와 시'(1954) 등 다양한 (달)항아리 그림을 볼 수 있다. 전시에는 작가가 실제 소장했던 조선 달항아리와 작가의 도자기가 놓인 선반도 출품돼 1956년작 '항아리' 등 실제 그림과의 연계성을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X
'항아리'(1956)와 작가가 소장했던 도자기들과 선반 항아리 이미지는 삼성문화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Whanki Foundation·Whanki Museum

가로 5.6m 크기의 대작 벽화 '여인들과 항아리'는 이번 전시를 계기로 발견된 작가 수첩을 통해 제작 연도가 1960년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2부에서는 점화를 중심으로 김환기가 1963년 미국 뉴욕으로 이주한 후 새로운 추상 세계를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달은 사라지고 구름과 산 같은 자연의 요소들은 점과 선, 면으로 추상화된다. 뉴욕에서 처음으로 그린 그림인 '야상곡'(1964)은 붓이 아닌 나이프로 작업한 것으로, 거주지를 옮긴 후 작가의 새로운 시도를 엿볼 수 있다.

X
북서풍 30-VIII-65, 1965(왼쪽), 하늘과 땅 24-IX-73 #320, 1973[삼성문화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Whanki Foundation·Whanki Museum

점이 처음 등장하는 작품인 1964년작 '새벽별'을 시작으로 1965년 본격적으로 점화가 시작된다. 친한 벗이었던 시인 김광섭의 시 '저녁에'의 한 구절에서 제목을 따온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16-IV-70 #166', 2019년 경매에서 당시 환율로 약 132억원에 낙찰돼 한국 미술품 경매 사상 최고가 낙찰 기록을 세운 일명 '우주'(Universe 5-IV-71 #200) 같은 대표작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일부 검정 점화는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 소개된다. 색상과 화면 구성 등 다채로웠던 점화는 죽음을 앞두고 검게 변한다. 검은 점화 '17-VI-74 #337'(1974)은 작고 한 달 전 그린 것으로 김환기는 이 작품 이후 마지막 한 점을 더 그리고 생을 마감한다.

X
17-VI-74 #337, 1974, [삼성문화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Whanki Foundation·Whanki Museum

전시를 기획한 태현선 리움미술관 소장품연구실장은 "그동안 김환기 전시는 점화로 쏠리거나 구상이나 추상으로 나눠 소개되는 등 전체적인 그의 예술세계를 조망할 기회가 없었다"면서 "이번 전시는 점화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살피며 예술세계를 조망하는 전시로, 김환기 연구의 새로운 시작을 위한 전시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새로 바뀐 호암미술관은 로비와 외관은 가능한 한 보존하되 전시장은 층고를 높이고 편의시설을 갖추는 등 현대적으로 재단장했다. 호암미술관은 2021년 12월 '야금'전 이후 1년 반 동안 리노베이션을 진행하고 재개관했다.

삼성문화재단은 앞으로 '하나의 미술관, 두 개의 장소'를 콘셉트로 서울 한남동의 리움미술관과 호암미술관의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합해서 운영할 계획이다.

김성원 리움미술관 부관장은 "호암미술관을 두고는 고미술이나 근대미술 등 특정적인 전시만 떠올릴 수 있었다면 이번 김환기 회고전을 필두로 앞으로는 고미술부터 국내외 현대미술까지 품을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9월10일까지. 유료 관람.

X
전시 전경 [삼성문화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Whanki Foundation·Whanki Museum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글로벌리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